CTRL + F 를 이용해서 검색하세요
- 거액신용공여(Large Credit Exposure)
동일한 개인이나 법인 또는 동일차주 각각에 대하여 금융기관의 신용공여가 당해 금융기관 자기자본의 10%를 초과하는 경우의 동 금액
- 경과보험료(Earned Premiums)
보험기간의 경과를 감안하여 당기의 수익으로 계상되는 보험료 수입. 보험계약에서는 계약연도와 보험회사의 회계연도가 일치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데, 계약연도에 해당하는 보험료 중 회계연도 말에 기간이 경과하여 당기의 수익으로 계상하는 것이 타당한 보험료가 경과보험료이고 경과보험료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차기회계연도의 일부에 해당하여 미경과보험료라고 지칭함
- 경과손해율(Earned-Incurred Loss Ratio)
경과보험료 대비 발생손해액이 차지하는 비율
- 경상수지(Current Account)
상품과 서비스를 외국에 팔고 사는 거래와 외국에 투자한 대가로 벌어들이는 배당, 이자 등을 통한 수입지출의 차이로서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소득수지, 경상이전수지로 구분됨
- 경제성장률(Economic Growth Rate)
각 경제활동부문이 만들어낸 부가가치가 전년에 비하여 얼마나 증가하였는가를 나타내는 지표
- 계약배당준비금(Policyholder Dividend Reserve)
생명보험계약은 그 성격상 장기상품이기 때문에 보험료는 장래 어떠한 변동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이율․사망률에 충분한 안정성을 고려해서 보수적으로 계산되며 이와 같이 계산된 계산보험료와 실제보험료간에 차이가 발생할 경우 이를 계약자에게 돌려주게 되는데 이를 계약자배당이라 부르며 계약자배당을 위하여 적립한 금액을 계약배당준비금이라 함
- 계약자이익배당준비금(Profit Sharing Reserve for Policyholder)
장래에 계약자배당에 충당하기 위하여 계약자배당준비금 이외에 추가적으로 적립하는 것으로서 법령 등에 의해 영업성과에 따라 총액으로 적립하는 금액을 말함
- 계약자지분조정(Policyholder's Equity)
생명보험 대차대조표상 부채항목중 하나로서 계약자에 대한 포괄적 채무를 나타내는 계정. 특정계약자에 대한 채무는 아니지만 궁극적으로 주주 이외의 자에게 돌려주어야 할 비확정부채를 말하며 미실현 계약자지분을 실현분에 해당하는 책임준비금과 구분․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재무정보의 유용성을 제고하도록 한 것임
- 계정간 상호거래(Mutual Transaction between Accounts)
계정(은행계정, 신탁계정, 종금계정)간 자금을 차입 또는 대여함에 따라 발생하는 채무 또는 채권
- 고객예수금(Customers' Deposit)
유가증권 매매 등과 관련하여 증권회사가 고객으로부터 예치받아 보관중인 예치금으로 위탁자예수금, 청약자예수금 및 저축자예수금 등으로 구분함
- 공모(Public Offering)
불특정 다수(증권거래법상 50인 이상)를 대상으로 유가증권의 매도의 청약을 하거나 매수의 청약을 권유하는 행위(모집과 매출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로서 특정인(50인 미만)을 대상으로 유가증권을 발행하는 사모(Private Placement)와 구별됨
- 광의통화(M2)
M1에 포함되는 현금과 요구불예금뿐만 아니라 정기예금, 정기적금 등 예금은행의 저축성예금 그리고 거주자외화예금 등을 포함시킨 개념으로, 이들 금융상품이 비록 거래적 수단보다는 자산을 증식하거나 미래의 지출에 대비한 일정기간 동안의 저축수단으로 보유되지만 약간의 이자소득만 포기한다면 언제든지 인출이 가능하여 결제성예금과 유동성 면에서 큰 차이가 없다고 보기 때문임
- 구상이익(Compensation Income)
보험사고 발생으로 지급된 보험금중 과거경험률에 근거하여 담보권의 실행이나 구상행사 등에 의하여 회수가 예상되는 금액. 보험자가 피보험자에게 손해보상을 하였을 경우 보험자는 지급한 보험금을 한도로 피보험자가 제3자에 대해서 지니는 권리를 취득하는데 보험자가 손해발생을 야기시킨 제3자에게 손해배상청구를 통해 회수 가능한 금액을 말함
- 국고채(Treasury Bonds)
과거에는 국채관리기금에 의하여 발행되어 국채관리기금채권이라 불렸으나 1998년 11월부터 그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1999년에 기금운용체계를 간소화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국채관리기금을 폐지하여 공공자금관리기금법에 의한 공공자금관리기금에 통합함에 따라 국고채권은 공공자금관리기금의 부담으로 발행함. 1년·3년·5년·10년의 만기로 발행되며, 이 중 3년 만기가 주류를 이루고, 경쟁입찰을 통해 소화됨
- 국제수지(Balance of Payment)
일정기간동안 한나라의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에 발생한 모든 경제적 거래를 종합적으로 기록한 통계로서 이는 일정한 기간의 재화와 서비스의 수출입을 계상하는 경상수지와 이에 따른 화폐의 증감분을 나타내는 자본수지로 구분됨
- 국채(Government Bonds)
정부가 국회의 의결을 얻어 공공 및 재정 투․융자자금의 조성을 위하여 발행한 기채증권을 말함
- 금리차보장금(Guaranteed Interest Dividends)
유배당보험계약에서 예정이율이 당해 사업연도의 1년만기 정기예금 평균이자율보다 낮을 경우 계약자에게 차이를 보전해 주기 위해 적립한 금액
- 금융기관유동성(Liquidity Aggregates of Financial Institutions : Lf)
M2(광의통화)에 만기 2년이상 정기예적금 및 금융채, 증권금융 예수금, 생명보험회사(우체국 보험 포함) 보험계약준비금 및 RP, 농협 국민생명공제의 예수금 등을 합한 통화지표임(종전 M3에서 명칭 변경)
- 금융리스(Financial Leases)
임대자의 서비스는 설비에 대한 금융제공에 한정되고 리스자산의 소유권이 임차인에게 이전됨에 따라 임차인이 임차자산의 유지․보수에 관한 책임을 지는 리스로 중도해약이 금지되어 있는 리스계약
- 금전신탁(Money in Trust)
수탁자가 금전을 신탁재산으로 예탁받아 이를 대출, 채권 등 적절한 투자대상에 운용하여 얻은 이익을 수익자에게 금전 등의 형태로 되돌려 주는 제도로서 수탁자가 신탁재산의 운용을 지정하느냐 여부에 따라 특정금전신탁과 불특정금전신탁으로 구분됨
- 기업공개(Initial Public Offering)
회사가 발행한 주식을 다수의 일반투자자에게 널리 분산시키는 일련의 절차로서 우리나라에서는 통상 증권거래소시장에 상장하기 위하여 주식을 모집 또는 매출하는 것을 말함
- 기업등록(Registration of Corporation)
유가증권 발행의 공정과 기업의 공시를 위하여 금감위에 등록한 법인으로 증권거래소에 유가증권을 상장하고자 하는 법인, 코스닥시장에 유가증권을 등록하고자 하는 법인 및 주권상장법인과 합병하고자 하는 비상장법인 등이 등록대상임
- 납입자본금(Paid in Capital)
주식을 발행하여 인수납입이 완료된 금액으로 발행주식의 액면총액이며 액면총액을 초과하는 부분은 주식발행초과금이 됨
- 다우존스지수(Dow Jones Average)
다우존스사가 1884년 7월 3일 발표해 대표적인 우량주만 골라 그 종목의 주가평균을 산출하는 다우(Dow)방식 주가지수의 원조. 다우식 주가지수는 채택된 종목의 주가평균을 기준시점 주가평균으로 나누어 산출함
- 단기매매증권(Trading Securities)
주로 단기간 내의 매매차익을 목적으로 취득한 유가증권으로서 매수와 매도가 적극적이고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말함
- 당좌예금(Cheking Deposits)
은행이 예금자의 요구에 따라 예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언제든지 지급할 것을 약속하는 예금으로 지급을 요구할 때는 반드시 수표 또는 어음을 발행하도록 되어 있음
- 대손충당금(Allowances for Credit Losses)
차주의 채무상환능력을 감안하여 동 대출채권에 대하여 설정한 회수불능 대손추산액
- 대주(Stock Loan)
융자는 증권사의 고객인 투자자가 증권사로부터 자금을 빌리는 데 반하여 대주는 증권사로부터 주식을 빌리는 것을 말함. 융자의 경우 일정기간이 지나 만기가 도래하면 자금상환을 위해서 주식을 팔아야 하는 반면 대주는 주식을 되사서 증권사에 돌려주어야 하므로 미래에 주식의 가수요를 불러 주가상승요인으로 작용하게 됨
- 대차거래(Transactions of Lending and Borrowing)
대여자가 차입자에게 유가증권을 유상으로 빌려주고 차입자는 계약종료시 대여자에게 동종동량의 유가증권으로 상환할 것임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하는 거래
- 리스자산(Leases Assets)
리스회사가 기계, 설비 등 기업이 필요로 하는 고가의 생산수단을 기업을 대신하여 구입, 취득하여 기업과의 약정에 따라 일정한 사용료(리스료)를 정기적으로 지급받고 장기간 임대해 주는 리스물건
- 만기보유증권(Held to Maturity)
만기가 확정된 채무증권으로서 상환금액이 확정되었거나 확정이 가능한 채무증권을 만기까지 보유할 적극적인 의도와 능력이 있는 경우에는 만기보유증권으로 분류
- 매도가능증권(Available for Sale)
단기매매증권이나 만기보유증권으로 분류되지 아니하는 유가증권
- 매출(Public Offering of Outstanding Issues)
유가증권을 공모하는 방법의 하나로 이미 발행되어 있는 유가증권에 대하여 50인 이상을 대상으로 유가증권의 매도 청약을 하거나 매수 청약을 권유하는 행위
- 모집(Public Offering of New Issues)
유가증권을 공모하는 방법의 하나로 신규로 발행되는 유가증권에 대하여 50인 이상을 대상으로 유가증권의 매도 청약을 하거나 매수 청약을 권유하는 행위
- 무수익여신(Non-performing Loans)
원리금이 3개월이상 연체된 여신, 부도업체 등에 대한 여신, 채무상환능력 악화 여신, 채권재조정 여신 등 이자를 계상하지 않는 여신으로 실제 이자수익을 기대할 수 없는 여신
- 미수금(Accounts Receivable)
기업회계에서는 기업의 일반적 상거래 이외의 영업활동에서 발생한 미수채권을 말하는 것이지만 증권용어로는 보통거래(3일결제) 또는 신용거래 등과 관련하여 증권회사가 고객으로부터 미회수한 금전채권으로 증권매도대금의 미회수금 및 신용공여금의 미회수금 등을 말함
- 미확정지급보증(Acceptances and Guarantees)
은행이 지급보증하였으나 아직 주채무가 확정되지 않은 지급보증
- 발생손해액(Incurred Losses)
당기에 발생한 보험사고 등에 대하여 지급된 보험금과 아직 지급되지 아니한 준비금 등 당기의 보험금 비용을 말하며 수익비용 대응의 원칙에 따라 당기의 비용으로 계상하는 것이 타당한 보험금을 말함
- 발행어음(Bills Issued)
종금사가 고객으로부터 예치받은 금전에 대하여 고객을 수취인으로 하고 종금사를 지급인으로 하여 고객에게 발행교부하는 약속어음으로 보통 고객이 맡긴 원금에 이자를 합한 금액을 액면금액으로 하여 할인식 또는 부리식으로 발행
- 범위내대출(Loans of Extent)
신용협동조합에서 정기예탁금 또는 출자금을 담보로 빌려주는 대출상품
- 별단예금(Temporary Deposits)
금융기관이 업무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미결제, 미정리된 일시적 보관금이나 예수금 등을 처리하기 위해 설치한 일시적, 편의적 계정
- 보유계약액(Business in Force)
보험회사가 실제로 보유하고 있는 유효계약으로서 보험사고가 발생하면 즉시 보험금 지급의 책임을 져야하는 주된 보장금액
- 보유보험료(retention premium)
원수보험회사가 재보험회사에 출재한 보험료를 제외하고 순수하게 원수보험회사가 보유하는 보험료
- 보증보험(Gurantee Insurance)
개인이나 기업이 경제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담보나 보증인이 필요한 경우 보증보험사에 일정액의 보험료를 내고 발급받은 보증보험증권으로 담보나 보증인을 대신하는 제도임. 만일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보증보험사가 책임을 지게 되므로 담보를 구하지 못한 채무자나 예상치 못한 손해를 입지 않으려는 채권자에게 유용한 제도
- 보통예금(Passbook Deposits)
요구불예금의 일종으로 입출금이 자유로운 통장식 은행예금
- 보험계약준비금(Insurance Reserves)
보험회사가 보험계약에 의거한 책임이행 즉, 보험계약자 또는 수익자에게 장래에 보험금, 배당금등을 지급하기 위하여 결산기 말에 적립한 금액으로 책임준비금과 비상위험준비금으로 구분되며 비상위험준비금은 손해보험에서만 적립하는 준비금임
- 보험금(Claims Paid)
보험회사가 보험약관에 의거 보험사고시 급부금으로 보험수익자에게 지급하는 금액
- 보험료(Gross Premium Written)
보험계약에 의하여 보험계약자가 보험회사에 납입한 금액으로 보험금 등의 지급에 충당되는 순보험료와 보험사업의 운용에 필요한 경비 등에 충당되는 부가보험료로 나누어 짐
- 보험미수금(Insurance Receivable)
보험거래에서 발생한 미회수 보험료 및 재보험거래에서 발생한 미회수 보험금
- 부활(Reinstatements)
효력상실된 보험계약이라 할지라도 일정기간(2년)내에 연체된 보험료와 회사가 정하는 소정의 이자를 납입하고 보험회사가 이를 승낙하면 계약을 원래의 상태로 회복할 수 있는 제도
'용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용어 정리(5) (0) | 2021.06.22 |
---|---|
금융 용어 정리(4) (0) | 2021.06.22 |
금융 용어 정리(3) (0) | 2021.06.22 |
금융 용어 정리(2) (0) | 2021.06.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