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RL + F 를 이용해서 검색하세요
- 재무상태표 (Balance Sheet)
재무상태표는 일정시점에 있어서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재무보고서로서 재무상태표의 차변에 기록되는 자산항목은 기업이 소유한 자산의 종류를 나타내며 대변에 기록되는 부채 및 자본항목은 자본의 조달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재무상태표는 기업의 유동성과 재무적 융통성(financial flexibility)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 가스수도비 (Utilities)
제조부문에서 발생한 수도료, 연료비 및 유류비 등을 말한다. 다만, 운송업종에 있어서 운송수익 창출에 직접 사용되는 연료비 및 유료비는 업종특성상 재료비로 계상된다.
- 감가상각률 (Depreciation ratio)
비상각자산 즉 토지, 건설중인 자산을 제외한 나머지 유·무형자산에 대하여 당기에 어느정도 감가상각비를 계상하였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이 비율이 높으면 유·무형자산에 대한 재투자비용 회수가 빠름을 의미한다.
- 감가상각비 (Depreciation)
감가상각비는 수익.비용대응의 원칙에 따라 판매와 관리부문에서 사용된 고정자산(토지와 건설중인 자산 제외)의 원가를 그 경제적 효익이 발생하는 기간에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배분한 것을 말한다.
- 개발비 (Development costs)
특정 신제품 또는 신기술의 개발을 위한 내부 프로젝트는 연구단계와 개발단계로 구분하되 연구단계에서 발생한 모든 지출이나 개발단계에서 발생한 지출중 일정요건을 갖추지 못하는 경우에는 경상개발비.연구비 과목으로 해당기간의 비용으로 처리한다. 개발비가 무형자산으로 인식되기 위해서는 기술적 실현가능성, 개발후 완성자산을 사용하거나 판매하려는 기업의 의도나 능력, 미래 경제적 효익 창출력, 개발단계에서 발생한 지출의 객관적 측정가능성 등의 요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 건물.구축물 (Buildings and structures)
건물은 기업이 영업목적으로 토지에 건설한 건축물과 그것의 영속적 부속설비로서 건물과 냉난방, 전기, 통신 및 기타의 건물부속설비가 포함된다. 구축물은 토지에 부착된 토목설비 또는 공작물로서 교량, 안벽, 부교, 궤도, 저수지, 갱도, 굴뚝, 정원설비 등이 포함된다.
- 건설중인 자산 (Construction in progress)
건설중인 자산은 유형자산의 건설을 위해 재료비, 노무비 및 경비 등이 지출되었으나 건설이 완료되지 아니한 경우에 일시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계정으로 건설이 완료되어 영업에 사용하게 된 때에는 해당 유형자산계정으로 대체 처리한다. 또한 건설자금으로 사용된 차입금에서 발생한 순금융비용은 건설중인 자산에 포함한다.
- 경비 (Overhead costs)
제품의 제조를 위하여 지출된 원가요소중 재료비, 노무비를 제외한 일체의 비용을 말한다.
- 경상개발비 (Ordinary development expenses)
경상개발비는 특정 신기술연구 또는 신제품의 개발과 관련하여 개발단계에서 발생한 지출중 무형자산 요건을 갖추지 못한 경우로서 제조활동과 관련된 비용을 말한다.
- 경상개발비.연구비 (Ordinary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ses)
경상개발비·연구비는 특정 신기술연구 또는 신제품의 개발과 관련하여 발생된 비용으로서 연구단계에서 발생한 모든 지출과 개발단계에서 발생한 지출중 기술적 실현가능성, 완성후 판매 또는 사용하려는 기업의 의도 및 능력, 미래의 경제적 효익창출력 등의 요건을 하나라도 갖추지 못한 경우로서 해당기간의 비용으로 처리한다.
- 비유동부채 (Non-current liabilities)
비유동부채는 재무상태표일의 다음날로부터 1년 이후에 지급기일이 도래하는 부채를 말한다. 여기에는 회사채, 장기차입금(장기금융기관차입금, 기타차입금), 장기부채성충당금 및 기타고정부채 등이 포함된다.
- 비유동부채비율 (Non-current liabilities ratio)
자기자본에 대한 비유동부채의 비율로서 자본구성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보조지표이다.
- 고정비 대 매출액 (Fixed costs to sales)
고정비는 조업도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발생하는 비용으로서 이 비율이 높으면 조업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의미한다. 경기불황시에는 매출액 감소에도 불구하고 고정비 지출은 줄지 않아 이 비율이 전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고정비에는 일반적으로 감가상각비, 보험료, 임차료, 이자비용 등을 포함한다.
- 비유동자산 (Non-current assets)
비유동자산은 1년 이내에 현금으로 전환되거나 판매 또는 소비가 어려운 자산으로 여기에는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등이 포함된다.
- 비유동자산회전율 (Non-current assets turnover)
비유동자산의 효율적 이용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자본의 고정화상태를 판단하는 수단이 되며 유동성분석에 있어서도 유용한 보조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
- 광고선전비 (Advertising)
통상적인 영업활동의 수행상 지출된 광고선전비를 말하며 불특정다수를 상대로 지출한 비용이란 점에서 특정인을 상대로 지출한 접대비와 구별된다.
- 금융비용 대 매출액 (Interest expenses to sales)
매출액중 금융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데 이 비율은 기업이 부담하고 있는 금융비용의 수준을 나타내고 있는 대표적인 지표로서 금융비용부담률이라고도 한다. 금융비용은 조업도와 관계없이 차입금에 대한 대가로서 지급되는 고정비 성격의 항목이므로 기업경영의 장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 비율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 금융비용 대 부채 (Interest expenses to liabilities)
기업의 부채에는 차입금과 같이 이자를 부담하는 이자부부채와 매입채무, 선수금, 충당금 등과 같이 이자를 부담하지 않는 비이자부부채가 있다. 금융비용 대 부채 비율은 이러한 비이자부부채를 포함한 총부채에 대한 금융비융의 비율을 말한다. 여기서 금융비용이란 이자비용(어음할인료 포함)을 말한다.
- 금융비용 대 총비용 (Interest expenses to total expenses)
총비용중 금융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차입금의존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 급여 (Salaries)
판매와 관리부문에 종사하는 종업원에 대한 급료, 임금 및 상여와 3개월 이하의 단기간 고용하는 임시 종업원 및 일시적으로 고용하는 인부나 기술자에게 지급하는 잡급 및 정해진 지급기준에 따라 임원에게 지급되는 보수와 제급여 및 임원상여를 포함한다.
- 기계장치 (Machinery and equipment)
기계장치는 일반기계와 「컨베이어」, 「호이스트」, 기중기 등의 운송설비 및 기타의 부속설비 등을 말하는데 취득원가에는 순송장가격에 운임, 운송보험료, 취득세, 설치비용, 시운전비용 등의 부대비용이 포함된다. 기계는 동력을 받아서 외부의 대상물에 작업을 가하는 설비의 단위를 의미하며 장치는 대상물을 내부에 수용하여 이것을 변질, 변형, 분해, 운동시키는 설비의 단위를 말한다.
- 기계투자효율 (Gross value-added to machinery and equipment)
설비투자효율의 보조지표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계장치가 어느 정도의 부가가치를 생산하였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 기말재공품원가 (Ending work-in-process)
기초재공품원가와 반대로 결산일 현재 생산과정중에 있는 재공품 잔액을 말한다.
- 기업세전순이익률 (Interest expenses and income before income taxes to total assets)
자금원천에 관계없이 기업에 투하된 총자본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세전순이익에서 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을 차감하기 전의 금액을 총자본과 대비한 것이다. 따라서 기업가의 경영능력을 측정하는 지표로 이용되고 있다.
- 기업순이익률 (Interest expenses and net income to total assets)
당기순이익과 이자비용의 합계액을 총자본과 대비한 비율로서 기업에 투하된 총자본의 종합적인 최종성과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 기초재공품원가 (Beginning work-in-process)
재공품은 제품 또는 반제품의 제조를 위한 생산과정에 있는 것으로, 기초재공품원가는 전기에서 이월된 재공품 잔액을 말한다.
- 기타경비 (Other overhead costs)
이상에서 열거한 항목을 제외한 경비의 합계액으로 소모품비, 여비교통비, 통신비, 특허권사용료 및 잡비 등을 포함한다.
- 기타비유동부채 (Other non-current liabilities)
지급기한이 1년 이상인 비유동부채중 위에서 열거한 항목 이외의 장기성 매입채무 및 기타의 비유동부채 등을 말한다.
- 기타단기차입금 (Other short-term borrowings)
기타단기차입금은 금융기관 이외의 자로부터 차입한 단기차입금으로서 관계회사 단기차입금, 주주.임원.종업원 단기차입금 등이 포함된다.
- 기타당좌자산 (Other quick assets)
이상에서 열거한 항목 이외의 당좌자산을 합계하여 기재하며 여기에는 단기대여금, 미수수익, 선급금, 선급비용, 관계회사 및 주주.임원.종업원에 대한 단기채권, 선급법인세 등이 포함된다. 단기대여금은 회수기간이 1년 이내에 도래하는 대여금과 어음상의 채권을 말하고 미수수익은 당기에 속하는 수익중 미수액으로 한다.
- 기타법정적립금 (Other statutory reserves)
기업합리화적립금, 재무구조개선적립금 등 상법 이외의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의무적으로 적립하여야 할 적립금을 말한다.
- 기타영업외비용 (Other non-operating expenses)
기타영업외비용은 이상에서 열거한 항목 이외의 영업외비용으로서 재고자산평가손실, 기부금, 잡손실 등이 있다.
- 기타영업외수익 (Other non-operating income)
이상에서 열거한 항목 이외의 영업외수익에는 수입임대료, 사채상환이익, 지분법이익, 잡이익 등이 있다.
- 기타유동부채 (Other current liabilities)
이상에서 열거한 항목 이외의 부채로서 대차대조표일로부터 1년 이내에 지급.상환되는 채무로 선수금, 예수금, 미지급비용, 미지급법인세, 선수수익, 단기부채성충당금 및 기타의 유동부채가 포함된다.
- 기타유형자산 (Other property, plant and equipment)
이상에서 열거한 항목 이외의 유형자산으로서 공구와 기구, 비품 등이 포함된다.
- 기타이익잉여금처분액 (Other appropriation of retained earnings)
이익잉여금처분액 중에서 위에 열거한 항목에 속하지 아니하는 처분액으로서, 이에는 주식할인발행차금상각, 배당건설이자상각, 자기주식처분손실잔액, 상환주식상환액 등을 포함한다.
- 기타장기차입금 (Other long-term borrowings)
기타장기차입금은 회사채 및 장기금융기관차입금을 제외한 차입금중 1년 이후에 상환기일이 도래하는 모든 차입금을 말한다. 이 항목에는 관계회사장기차입금, 주주.임원.종업원 장기차입금 등이 포함된다.
- 기타재고자산 (Other inventories)
기타재고자산은 위의 항목 이외의 재고자산을 합계하여 기재하며 재공품, 저장품 등이 포함된다. 재공품은 제품 또는 반제품의 제조를 위하여 생산과정에 있는 것을 말하고 저장품은 소모품, 소모성 공구기구비품, 수선용 부분품 및 기타 저장품을 말한다.
- 기타처분전이익잉여금 (Other retained earnings before appropriation)
처분전이익잉여금 중에서 위에 열거한 항목에 속하지 아니하는 이익잉여금으로서 자사주이익소각, 특별수선충당금환입액 등을 포함한다.
- 기타판매비와 관리비 (Other selling & administrative expenses)
이상에서 열거한 항목이외의 판매비와 관리비에 속하는 여비, 교통비, 수선비, 견본비 등을 말한다.
- 노동소득분배율 (Employment costs to gross value-added)
기업이 창출한 부가가치중에서 노동에 배분된 몫의 비중을 나타낸다.
- 노동장비율 (Property, plant and equipment per capita)
생산과정에서 종업원 한 사람이 어느 정도의 노동장비를 이용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 노무비 (Labor costs)
제품의 제조에 직.간접적으로 종사하는 공장종업원에 대하여 지급하는 임금, 상여, 잡급과 퇴직급여 등을 말한다.
- 단기금융기관차입금 (Short-term borrowings from financial institutions)
단기금융기관차입금이란 당좌차월을 비롯하여 대차대조표일로부터 1년 이내에 지급기일이 도래하는 은행, 보험 및 기타 금융기관으로부터의 단기성 차입금을 말하며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어음차입금도 이에 포함된다.
- 단기투자증권 (Short-term securities)
단기투자증권은 단기매매증권과 대차대조표일로부터 1년내 만기가 도래하거나 또는 매도 등에 의하여 처분할 것이 거의 확실한 매도가능증권과, 대차대조표일로부터 1년내 만기가 도래하는 만기보유증권을 말한다. 참고로 유가증권에는 보통주, 우선주, 수익증권 또는 자산유동화출자증권, 신주인수권, 콜옵션, 풋옵션 등의 지분증권과 국채, 공채, 사채(전환사채 포함), 자산유동화채권 등의 채무증권 등이 포함된다.
- 당기순손익 (Net income or loss)
당기순손익은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에서 법인세비용을 차감한 잔액을 말하며 당해 회계연도의 최종적인 경영성과를 나타낸다.
- 당기순이익 (Net income)
손익계산서상의 당기순이익을 의미한다.
당기제품제조원가 (Costs of goods manufactured), 당기제품제조원가는 당기중 제품생산을 위하여 소요된 총비용으로서 기초재공품원가에 당기총제조비용을 가산하고 기말재공품원가와 타계정대체액을 차감하여 계산한다.
- 당기총제조비용 (Current manufacturing cost)
당기중 제품생산에 투입된 총제조비용을 말하며 원가요소에 따라 재료비, 노무비, 경비로 구분한다.
- 당좌비율 (Quick ratio)
유동부채에 대한 당좌자산의 비율로서 유동자산중 현금화되는 속도가 늦고 현금화의 불확실성이 높은 재고자산 등을 제외시킨 당좌자산을 유동부채에 대응시킴으로써 단기채무에 대한 기업의 지급능력을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산성시험비율(Acid test ratio) 또는 신속비율이라고도 하는 이 비율은 기업의 유동성분석을 위한 보조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 당좌자산 (Quick assets)
당좌자산은 판매과정을 거치지 않고 즉시 현금화될 수 있는 자산으로 다른 자산의 취득 또는 유동부채의 지급에 충당할 수 있는 자산을 말한다. 이러한 당좌자산은 현금 및 현금등가물, 단기금융상품, 단기투자증권, 매출채권, 미수금 및 기타당좌자산으로 구분된다.
- 대손상각비 (Bad debt expenses)
대손상각비는 회수가 불확실한 매출채권에 대하여 산출한 대손처리액과 회수가 불가능한 매출채권을 상각처리한 것을 말한다. 일반적인 상거래에서 발생한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상각은 판매비와 관리비로 회계처리하고 기타채권에서 발생한 것은 영업외비용으로 처리한다.
댓글